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분쟁없이 일하는 프리랜서 계약서 작성법

 

“처음엔 좋았는데, 나중에 의견이 달라졌어요…” 프리랜서라면 누구나 겪을 수 있는 분쟁. 계약서가 있다면 달라집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콘텐츠 제작 프리랜서로 5년 넘게 일하며 수십 건의 계약을 경험해왔습니다. 분쟁 없이 깔끔하게 끝난 일도 있고, 중간에 갈등이 생겨 마음고생한 적도 있어요. 오늘은 ‘어떻게 하면 일하면서 분쟁 없이, 프로답게 계약을 맺을 수 있을까?’라는 고민에 답을 드리고자 합니다. 실제 사례와 함께, 꼭 필요한 계약서 항목을 알려드릴게요. 실무에 바로 쓸 수 있도록 구체적인 문장 예시도 넣었습니다.

 

1. 분쟁이 생겼던 실제 사례

제가 겪었던 실제 사례 중 하나를 소개할게요. 웹페이지 3개 구성 작업을 맡았는데, 클라이언트가 추가로 상세페이지도 포함된 줄 알았다고 주장했어요. 저는 처음 계약 시 언급이 없던 부분이라 추가 요금을 요구했지만, 서로 인식 차이로 갈등이 생겼죠. 결국 저는 20%의 비용을 깎아주고 마무리했어요. 업무 범위 미명시 → 해석 다름 → 분쟁 발생의 전형적 케이스였습니다.

2. 무엇이 빠졌길래 문제가 생겼을까?

이런 분쟁은 대부분 계약서에 ‘명확한 단어’와 ‘정확한 수치’가 빠졌을 때 발생합니다. 특히 자주 빠지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페이지 수’ 혹은 ‘작업 개수’ 명시 없음
  • ‘수정 횟수’, ‘작업 기한’ 불분명
  • ‘추가 작업 시 비용 발생’ 조항 없음
  • ‘클라이언트 확인 지연 시 일정 변경’ 조항 없음

 

3. 분쟁을 막는 핵심 조항 구성

실제로 써먹을 수 있는 분쟁 방지용 핵심 조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 5가지만 있어도 갈등의 80%는 줄어듭니다.

조항 설명
업무 범위 페이지 수, 작업 단위까지 구체적으로 명시
수정 횟수 1회 또는 2회로 제한, 초과 시 추가 비용 기재
작업 기한 1차 납기일 / 최종 완료일 구분
지급 조건 선금, 중도금, 잔금 기준과 날짜 명확히
커뮤니케이션 응답 지연 시 납기 자동 조정 조건 포함

 

4. 실제 계약서 문장 예시

아래는 실제로 제가 계약서에 자주 사용하는 문장 예시입니다. 복붙해서 쓰셔도 좋고, 상황에 맞게 수정해서 활용하세요.

  • “본 계약의 업무 범위는 상세페이지 디자인 3건이며, 추가 작업 시 별도 비용이 발생합니다.”
  • “수정은 총 2회까지 제공되며, 이후 추가 수정 시 건당 3만 원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 “선금 30%는 계약 체결 시, 잔금은 최종 시안 확정 후 7일 이내 지급합니다.”
  • “클라이언트가 3일 이상 피드백을 지연할 경우, 납기는 자동 연장됩니다.”

5. 나만의 계약서 템플릿 만들기

프리랜서는 상황에 따라 계약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에 ‘기본 틀 + 유동 항목’을 분리한 템플릿을 만들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구글 Docs로 기본 양식을 만들어 두고, 프로젝트마다 일부 항목만 수정해서 사용하고 있어요.

  1. 기본 항목: 작업자/의뢰자 정보, 계약 기간, 작업 범위, 납기, 금액, 저작권, 분쟁조항
  2. 변동 항목: 페이지 수, 금액, 수정 범위, 제출 포맷 등
  3. 운영 방식: 워드/Docs로 저장 후 PDF 변환, 모두싸인 등으로 계약 체결

 

6. 서명 전 마지막 체크리스트

계약서 초안이 완성됐다면, 서명 전에 아래 항목들을 반드시 체크해보세요. 이 과정만 잘해도 분쟁 가능성이 크게 줄어듭니다.

  • 모든 조항에 날짜와 명확한 숫자가 포함됐는가?
  • 수정 범위와 추가비용 조건이 들어갔는가?
  • 저작권 귀속 여부가 명시됐는가?
  • 서명 전 상대방도 검토 후 동의했는가?

 

Q 계약서를 쓰자고 하면 클라이언트가 꺼리는데요?

계약서는 서로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믿고 싶어서 더 확실히 정리하고 싶다”는 표현으로 부드럽게 요청해보세요.

Q 계약서 없이 이메일이나 문자만으로 진행해도 되나요?

법적 효력이 약해 분쟁 시 보호받기 어렵습니다. 정식 문서화된 계약서가 훨씬 안전합니다.

Q 수정 범위는 보통 몇 회로 설정하나요?

1~2회가 일반적이며, 그 이상은 추가 비용을 조건으로 합니다. 명확히 기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프리랜서가 계약서 보관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PDF로 변환하여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계약서 파일명은 “YYYYMMDD_클라이언트명_계약서” 형식으로 관리하세요.

Q 모두싸인 같은 전자계약은 법적 효력이 있나요?

전자서명법에 따라 전자계약도 법적 효력이 있습니다. 모두싸인, 도큐사인 등은 실제 기업들도 사용하는 안전한 방식입니다.

 

 

프리랜서 계약은 단순히 ‘문서’를 넘어서 신뢰의 약속이자 작업을 보호하는 방패입니다. 분쟁 없이 일하고 싶다면, 처음부터 명확한 계약이 필요해요. 오늘 공유한 사례와 문장 예시가 실제 계약서에 바로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이 글을 읽고 한 명의 프리랜서라도 더 안전하게 일할 수 있다면, 그걸로 충분합니다. 당신의 작업이 존중받는 세상, 계약서로부터 시작돼요.